728x90
git push 사용을 위한 개념
repository: git이 파일 기록해두는 장소
local에서 작업한 repository를 만들면 컴퓨터가 고장나도 안심, 협업 가능
로컬저장소를 원격저장소에 백업해보자.
git init으로 repository를 생성
git init
github는 기본 branch 이름을 Main으로 바꾸라고하기 때문에 바꿔놓자
git branch -M main
Github에서 만든 원격 저장소 올리기
로컬저장소에서 원격저장소로 업로드
git add .
git commit -m '메세지'
git push -u 저장소주소 올릴브랜치명(ex.main)
- 로컬저장소의 branch를 원격저장소에 올리는 명령어
- -u : 입력한 저장소의 주소를 기억해두기 위한 명령어(매번 저장소주소를 입력하기 귀찮기 때문)
git push -u 이름 브랜치
- git push 할 때 -u 추가하면 주소 기억하라는 뜻임
원격저장소 입력하기 귀찮음
git remote add 변수명 저장소주소
- '변수명'에 저장소주소가 할당됨
git remote -v
- 변수 목록을 살펴보기 위한 명령어
Reference
아래 강의를 복습하기 위해서 정리한건데 아래 강의한번 들으면 개념이해가 확실히 됩니다.
- https://codingapple.com/course-status/
728x90
반응형
'Study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사용법 - git clone, pull (0) | 2024.03.22 |
---|---|
[Git] git branch 만들기 (0) | 2024.03.22 |
[Git] git add, commit 기초 (0) | 2024.03.21 |
728x90
git push 사용을 위한 개념
repository: git이 파일 기록해두는 장소
local에서 작업한 repository를 만들면 컴퓨터가 고장나도 안심, 협업 가능
로컬저장소를 원격저장소에 백업해보자.
git init으로 repository를 생성
git init
github는 기본 branch 이름을 Main으로 바꾸라고하기 때문에 바꿔놓자
git branch -M main
Github에서 만든 원격 저장소 올리기
로컬저장소에서 원격저장소로 업로드
git add .
git commit -m '메세지'
git push -u 저장소주소 올릴브랜치명(ex.main)
- 로컬저장소의 branch를 원격저장소에 올리는 명령어
- -u : 입력한 저장소의 주소를 기억해두기 위한 명령어(매번 저장소주소를 입력하기 귀찮기 때문)
git push -u 이름 브랜치
- git push 할 때 -u 추가하면 주소 기억하라는 뜻임
원격저장소 입력하기 귀찮음
git remote add 변수명 저장소주소
- '변수명'에 저장소주소가 할당됨
git remote -v
- 변수 목록을 살펴보기 위한 명령어
Reference
아래 강의를 복습하기 위해서 정리한건데 아래 강의한번 들으면 개념이해가 확실히 됩니다.
- https://codingapple.com/course-status/
728x90
반응형
'Study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사용법 - git clone, pull (0) | 2024.03.22 |
---|---|
[Git] git branch 만들기 (0) | 2024.03.22 |
[Git] git add, commit 기초 (0) | 2024.03.21 |